[의생명정보알고리즘] PA3 과제
·
생명정보학/대학 강의
✅ PA3.py 파일 생성 및 수정 과정 요약교수님 코드 복사 (두 가지 방법 중 하나 선택)방법 1: PA2.py 파일 기반으로 복사→ 교수님이 제공한 PA2.py 파일을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PA3.py라는 이름으로 복사cp /mss/home_student/ABD2025/PA2.py PA3.py 방법 2: PA3.tmp.py 파일 기반으로 복사→ 교수님이 제공한 PA3.tmp.py 파일을 PA3.py라는 이름으로 복사cp /mss/home_student/ABD2025/PA3.tmp.py PA3.pyPA3.py 파일 수정 시작복사된 PA3.py 파일을 열고 필요한 내용을 수정하면서 쌍서열 정렬(또는 Affine Gap Penalty 등)에 맞게 구현을 시작하면 됨.교수님의 PA3.tmp.py 코드#!/..
나도 누군가의 시작이 되고 싶다
·
학과에 대해/첨단바이오공학부
[첨단바이오공학부 송혁 장학금] 기수 제도와 축산대학 전통 계승에 대한 나의 생각(경험) 나는 방황의 끝에서, 이 학부의 따뜻한 전통 속에서 다시 걸음을 시작한 사람이다. 또한 19학번이자 61기, 첨단바이오공학부에서는 아마 가장 오래된 기수일 것이다. 하지만 전과생으로서 나는 이제 막 출발선에 선 학생이다. 20살에 신입생으로 입학한 이후, 나는 오랜 시간 동안 진로에 대한 확신 없이 방황했다. 흥미나 적성보다는 취업을 우선으로 고려해 진학했기에, 시간이 지날수록 ‘과연 내가 이 일을 하며 행복할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이 점점 커졌다. 그러던 중 나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며 한 가지 확신이 생겼다. 나는 누구보다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은 ..
분자세포생물학 대학 강의 정리
·
분자세포생물학/대학 강의
Reference :- 건국대학교 분자세포생물학 강의 / 첨단바이오공학부 윤대진 교수님[2주차]📚 강의 요약: 생명과학과 유전학의 기초 🧬✨🔬 1. 유전학(Genetics)과 연구의 중요성유전학은 생명과학의 핵심 🎯유전학을 깊이 이해해야 오리지널한 연구 가능! 🏆제네틱(Genetic) + 키졸로지(Physiology) 조합이 중요 ⚙️🧪 2.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과 생화학(Biochemistry)분자 수준에서 생물을 연구하는 학문DNA 재조합 기술 → 유전자 편집 연구의 핵심 🔬효소로 DNA를 자를 수 있음 ✂️ →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 활용생화학(Biochemistry): 생명체 내 화학 반응 연구 🧪🧬 생물학의 기본 구성 요소:탄소(C)..
약리학 대학 강의 정리
·
약리학/대학 강의
Reference :- 건국대학교 약리학 강의 / 첨단바이오공학부 홍권호 교수님[2주차]1. 약리학 개요 (Pharmacokinetics & Pharmacodynamics)Pharmacokinetics (PK, 약물 동태학)→ 약물이 몸에서 흡수(Absorption), 분포(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배설(Excretion)되는 과정 연구Pharmacodynamics (PD, 약물 작용 기전)→ 약물이 생체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 연구📌 PK의 4가지 핵심 과정 (ADME)Absorption (흡수) : 약물이 투여 부위에서 혈류로 들어가는 과정Distribution (분포) : 혈액을 통해 약물이 전신 조직으로 이동하는 과정Metabolism (대사) : 간과 같..
의생명정보알고리즘 대학 강의 정리
·
생명정보학/대학 강의
Reference :- 건국대학교 의생명정보알고리즘 강의 / 첨단바이오공학부 김재범 교수님[2주차]🔬 1. 게놈 어셈블리 개요게놈 어셈블리는 짧은 DNA 서열(Reads)을 조합하여 전체 게놈을 복원하는 과정.3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됨:리드 → 컨티그 (Reads → Contigs)컨티그 → 스캐폴드 (Contigs → Scaffolds)스캐폴드 → 크로모좀 (Scaffolds → Chromosomes)📌 1단계: 리드 → 컨티그목표: 짧은 리드를 겹치는 부분(오버랩)을 이용해 긴 시퀀스(Contig)를 만드는 과정리드(Reads): DNA 시퀀싱의 결과물로 나온 짧은 서열 조각.오버랩(Overlap) 이용: 리드 간 겹치는 부분을 찾아 연결하여 긴 연속 서열(Contig) 생성.싱글 엔드 리드(Sin..
건국대 의생명공학과 학술 동아리 Primer OT
·
카테고리 없음
동아리 진행 계획이번 기수는 1년 기준으로 진행 예정 (작년에 한 학기만 했는데 는 너무 애매했음) 담당 교수님들BI-GEEKS : 김재범 교수님신약 개발 : 강학수, 신나연 교수님 발표회 계획 및 진행발표회 일정: 발표회는 이틀에 걸쳐 진행되며, 신약 개발 팀은 5개 팀씩 나누어 발표합니다.Geeks 팀과 진로탐색 팀은 교수님과 상의 후 일정이 결정됩니다.참석 필수: 발표회 참석은 필수이며, 불참 시 이수증 발급이 불가합니다. 개인 사정으로 불참 시 사전 연락 필요.학기 말 발표회는 총 2번! = 1학기에 1번, 2학기에 1번 카드 뉴스 및 자료 활용카드 뉴스: 발표 후 활동 내용을 카드 뉴스로 작성하여 인스타그램 등 3곳에 업로드합니다.자료 참조: 인스타그램과 프라이머 사이트에 활동 계획서,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