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책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책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책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1~6 장 https://velog.io/@minseojo/%EB%AA%A8%EB%91%90%EC%9D%98-%EB%84%A4%ED%8A%B8%EC%9B%8C%ED%81%AC-%EC%A0%95%EB%A6%AC-1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1) velog.io 7~9장 https://velog.io/@kimmainsain/%EB%AA%A8%EB%91%90%EC%9D%98-%EB%84%A4%ED%8A%B8%EC%9B%8C%ED%81%AC-%EC%A0%95%EB%A6%AC-8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 8 velog.io

    9. 무선 랜 이해하기

    9. 무선 랜 이해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kimmainsain (모든 저작권은 mainsain님의 velog에 있음) 🌏 무선 랜의 구조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무선 랜에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엔 무선 랜에 대해 알아보자. 무선 랜이란? 지금까지는 컴퓨터들을 랜 케이블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유선 랜의 구조에 대해 배웠다. 무선 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와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로 구성된다.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과 무선 랜 어댑터가 필요하다. 최근에 나온 컴퓨터는 대부분 무선 랩 칩을 내장하고 있기에 문제는 없다. 무선 랜 어댑터에는 ..

    8.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8.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kimmainsain (모든 저작권은 mainsain님의 velog에 있음) 🌏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2 ~ 7장까지 OSI 모델의 계층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엔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의 구성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OSI 모델 상위 응용 계층부터 하위 물리 계층까지에서 각각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림과 같이 컴퓨터, 스위치, 라우터, 웹 서버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구성은 192.168.1.0/24, 172.16.0.0.16, 192.168.10.0/24로 총 3개의 네트워크로 나누..

    7.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7.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kimmainsain (모든 저작권은 mainsain님의 velog에 있음) 🌏 응용 계층의 역할 OSI 모델의 응용 계층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응용 계층의 역할 웹 페이지를 볼 때는 크롬같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메일을 보내고 받을 때는 Outlook 같은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할 건데,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클라이언트)(사용자 측)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서버)이 있다. 웹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니 클라이언트가 된다. 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인 서버에는..

    6.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6.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minseojo (모든 저작권은 조민서님의 velog에 있음) 🌏 6장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OSI 모델 4계층인 전송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자. 🚩 이 장의 목표 - 전송 계층의 역할을 이해한다. -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을 이해한다. - TCP를 이해한다. - UDP를 이해한다. LESSON 23.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1.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른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고,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고 했다. 근데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목..

    5.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5.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minseojo (모든 저작권은 조민서님의 velog에 있음) 🌏 5장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이 장의 목표 OSI 모델의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자. IP를 이해한다. 라우터를 이해한다. IP 주소를 이해한다. 서브넷을 이해한다. 라우팅을 이해한다. LESSON 17.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전 세계에는 수 많은 네트워크가 있고 그 네트워크들은 서로 연결되어 거대한 인터넷을 이루고있다. 네트워크 간의 연결에 대해 알아보자. 1.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 규칙에 따라 같은 네트워크..

    4.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4.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minseojo (모든 저작권은 조민서님의 velog에 있음) 🌏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자. 🚩 이 장의 목표 이더넷을 이해한다. CSMA/CD방식을 이해한다. MAC 주소를 이해한다. 스위치를 이해한다. 충돌 도메인을 이해한다. 이더넷 표준을 이해한다. LESSON 1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랜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으로 이더넷을 사용한다. 이더넷에 대해 알아보자. 1. 이더넷이란?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OSI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

    3.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3.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Referecne : -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저 / 길벗 - https://velog.io/@minseojo (모든 저작권은 조민서님의 velog에 있음) 🌏 3장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 이 장의 목표 OSI 모델의 1계층인 물리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전기 신호를 이해한다. 랜 케이블을 이해한다. 리피터를 이해한다. 허브를 이해한다. LESSON 0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이때의 전기 신호에 대해 알아보자. 1. 전기 신호란? 0과 1(디지털 신호)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 하기 위해 OSI 계층 중에 맨 아래 계층인 물리 계층의 기술이 이용된다.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