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Ch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

    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

    1.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 1.7.1 패킷 교환 개발: 1961~1972 1960년대 초의 세계 주요 통신 네트워크는 전화망이었다. 전화망이 송신자에게서 수신자로 정보를 전송하는 데 회선 교환을 사용하였다. (음성이 송수신자 간에 일정한 속도로 전송된다면 이는 적절한 선택) 각 사용자가 만드는 트래픽은 집중적(bursty)이었다. 즉, 원격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활동과 응답을 기다리고 응답을 검토하는 비활동 사이의 기간이 일정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3개의 연구 그룹이 회선 교환을 대신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견실한 방법으로서 패킷 교환의 개념을 창안하였다. 1967년, 로렌스 로버츠(Lawrence Roberts)는 ARPAnet에 대한 대략의 계획을 발간하였다. → 첫 번째 패킷 교환 컴..

    6. 공격받는 네트워크

    6. 공격받는 네트워크

    Reference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퍼스트 북 / James F. Kurose, Keith W. Ross 건국대학교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 김기천 교수님 해커는 인터넷을 통해 당신의 호스트에 멀웨어(악성코드)를 침투시킬 수 있음 자판기에서 누르는 것 등을 포함하는 사적인 정보를 모으는 스파이웨어를 설치 ⇒ 획득한 정보 보냄 면역되지 않은 호스트는 수천의 비슷한 면역되지 않은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봇넷(botnet)에 등록 많은 악성코드(malware)는 자기복제를 함 멀웨어는 바이러스 혹은 웜의 형태로 퍼짐 바이러스 악의적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메일 첨부물을 수신하고 개봉⇒멀웨어 수행 웜 사용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없이 장치에 침투하는 멀웨어 해커는 서버와 네트워..

    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Reference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퍼스트 북 / James F. Kurose, Keith W. Ross 건국대학교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 김기천 교수님 계층구조 네트워크 설계자는 프로토콜을 계층(layer)으로 조직한다 서비스 모델(service model) 한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이것을 계층의 서비스 모델이라고 한다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다양한 계층의 프로토콜을 모두 합한 것 톱다운 방식 (top-down approach)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다루고 다음에 아래로 내려가는 방식을 의미 OSI 모델 애플리케이션 계층 (5~7계층)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있는 곳 트랜스포트 계층 (4계층) ..

    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손실과 처리율

    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손실과 처리율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개요 지연 유형 (노드) 처리 지연 (nodal processing delay) 패킷 헤더를 조사하고 그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결정하는 시간 큐잉 지연 (queuing delay) 큐에서 링크로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시간 전송 지연 (transmission delay) 선입선출 방식. 앞의 모든 패킷들이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시간 라우터가 패킷을 내보내는 데 필요한 시간 패킷 길이와 링크 전송률의 함수 두 라우터 사이의 거리와는 관계X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링크의 처음부터 라우터 B까지의 전파에 필요한 시간 비트가 한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전파되는데 걸리는 시간 두 라우터 사이의 거리에 대한 함수 패킷 길이나 링크 전송률과는 관계X 큐잉 지연과 패킷..

    3. 네트워크 코어

    3. 네트워크 코어

    Reference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퍼스트 북 / James F. Kurose, Keith W. Ross 건국대학교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 김기천 교수님 네트워크 코어 인터넷 가장자리를 살펴봤으므로 이제 네트워크 코어, 즉 인터넷의 종단 시스템을 연결하는 패킷 스위치와 링크의 그물망(mesh)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네트워크 코어 패킷 교환 (packet-switching) :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 송신 종단 시스템(출발지)에서 목적지 종단 시스템(도착지)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송신 시스템은 긴 메시지를 패킷이라고 하는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분할함 패킷은 통신링크와 패킷 스위치(라우터 또는 링..

    2. 네트워크 가장자리

    2. 네트워크 가장자리

    Reference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퍼스트 북 / James F. Kurose, Keith W. Ross 건국대학교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 김기천 교수님 네트워크 가장자리에서 네트워크 코어로 이동하고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스위칭 (교환)과 라우팅 (경로설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호스트는 클라이언트 (client)와 서버 (server)로 구분된다 클라이언트 (client) :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등을 의미 서버 (server) :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등 강력한 기능을 갖춘 컴퓨터 오늘날 검색 결과, 웹 페이지, 비디오를 수신하는 많은 서버는 커다란 데이터 센터(data center) 내에 있다 접속 네트워크 접속 네트워크 (access netw..

    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Reference :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 퍼스트 북 / James F. Kurose, Keith W. Ross 건국대학교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 김기천 교수님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2가지 관점에서 답할 수 있다 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인터넷 :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개의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2. 서비스 측면에서 본 인터넷 인터넷 :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구조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1. 인터넷의 구성요소 너트와 볼트 용어 정리 호스트(host) or 종단 시스템(end system)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 => 2022년에 285억 개에 이른다고 한다 => 호스트는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통신 링크 (com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