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Ch4.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평면

    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4.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4.3.1 IPv4 데이터그램 포맷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고 부른다. IPv4 데이터그램 포맷 버전 번호 4비트로 데이터그램의 IP 프로토콜 버전을 명시한다. 라우터는 버전 번호를 확인하여 데이터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한다. 다른 버전의 IP는 다른 데이터그램 포맷을 사용한다. 헤더 길이 IPv4 데이터그램은 헤더에 가변 길이의 옵션을 포함하므로 이 네 비트로 IP 데이터그램에서 실제 페이로드가 시작하는 곳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IPv4는 옵션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대체로 IPv4 데이터그램 헤더는 20바이트다. 서비스 타입 IPv4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비트는 각기 다른 유형의 ..

    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4.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위 그림을 라우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입력 포트 입력 포트의 맨 왼쪽과 맨 오르쪽 박스는 라우터로 들어오는 입력 링크로, 물리 계층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 포트는 들어오는 링크의 반대편에 있는 링크 계층과 상호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링크 계층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입력 및 출력 포트에서 미들박스로 표시된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입력 포트의 가장 오른쪽에서 수행되는 검색 기능이다. 여기서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하여 도착된 패킷이 스위치 구조를 통해 라우터 출력 포트를 결정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인 제어 패킷은 입력 포트에서 라우팅 프로세서로 전달된다. 여기서의 포트는 앞에서 언급한 포트와는 다르다. 스위치 구조 스위치 구조는 라우터의 입력 ..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4.1 네트워크 계층 개요 두 호스트 H1과 H2가 있을 때, 네트워크 계층은 두 호스트 중 하나의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H2의 트랜스포트 계층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는 트랜스포트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프로토콜 스택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라우터에는 데이터 평면과 제어 평면이 존재한다. 데이터 평면 : 입력 링크에서 출력 링크로 데이터그램을 전달한다. 제어 평면 : 데이터그램이 출발지 호스트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전달되게끔 로컬 포워딩, 라우터별 포워딩을 대응시킨다. 4.1.1 포워딩과 라우팅: 데이터 평면과 제어 평면 💡 네트워크 계층의 근본적인 역할은 송신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다. 위 역할을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