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4.3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체계, IPv6 등 4.3.1 IPv4 데이터그램 포맷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고 부른다. IPv4 데이터그램 포맷 버전 번호 4비트로 데이터그램의 IP 프로토콜 버전을 명시한다. 라우터는 버전 번호를 확인하여 데이터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한다. 다른 버전의 IP는 다른 데이터그램 포맷을 사용한다. 헤더 길이 IPv4 데이터그램은 헤더에 가변 길이의 옵션을 포함하므로 이 네 비트로 IP 데이터그램에서 실제 페이로드가 시작하는 곳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IPv4는 옵션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대체로 IPv4 데이터그램 헤더는 20바이트다. 서비스 타입 IPv4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비트는 각기 다른 유형의 ..

    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4.2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위 그림을 라우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입력 포트 입력 포트의 맨 왼쪽과 맨 오르쪽 박스는 라우터로 들어오는 입력 링크로, 물리 계층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 포트는 들어오는 링크의 반대편에 있는 링크 계층과 상호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링크 계층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입력 및 출력 포트에서 미들박스로 표시된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입력 포트의 가장 오른쪽에서 수행되는 검색 기능이다. 여기서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하여 도착된 패킷이 스위치 구조를 통해 라우터 출력 포트를 결정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인 제어 패킷은 입력 포트에서 라우팅 프로세서로 전달된다. 여기서의 포트는 앞에서 언급한 포트와는 다르다. 스위치 구조 스위치 구조는 라우터의 입력 ..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4.1 네트워크 계층 개요 두 호스트 H1과 H2가 있을 때, 네트워크 계층은 두 호스트 중 하나의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H2의 트랜스포트 계층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는 트랜스포트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프로토콜 스택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라우터에는 데이터 평면과 제어 평면이 존재한다. 데이터 평면 : 입력 링크에서 출력 링크로 데이터그램을 전달한다. 제어 평면 : 데이터그램이 출발지 호스트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전달되게끔 로컬 포워딩, 라우터별 포워딩을 대응시킨다. 4.1.1 포워딩과 라우팅: 데이터 평면과 제어 평면 💡 네트워크 계층의 근본적인 역할은 송신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다. 위 역할을 위한 ..

    8. 트랜스포트 계층 기능의 발전

    8. 트랜스포트 계층 기능의 발전

    3.8 트랜스포트 계층 기능의 발전 앞서 언급된 TCP들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버전의 TCP가 존재한다. 여러 TCP 변형 프로토콜의 유일한 공통 특징은 TCP 세그먼트 포맷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혼잡에 직면하여 서로 ‘공정하게’ 경쟁해야 한다는 점이다. QUIC: 빠른 UDP 인터넷 연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트랜스포트 서비스는 UDP가 제공하는 것보다 더 많은 서비스가 필요하지만, TCP와 함께 제공되는 특정 기능들을 모두 원하지는 않거나 다른 서비스를 원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설계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항상 ‘자신의 프로토콜을 확장’할 수 있다. e.g., QUIC(Quic UDP Internet Connections) = 빠른 UDP 인터넷 연결 특히 QUIC은 보안 HTTP를 위..

    7. TCP 혼잡 제어

    7. TCP 혼잡 제어

    3.7 TCP 혼잡 제어 IP 계층은 네트워크 혼잡에 관해 종단 시스템에게 어떠한 직접적인 피드백도 제공하지 않는다. 3.7.1 전통적인 TCP의 혼잡 제어 네트워크의 혼잡에 따라 연결에 트래픽을 보내는 전송률을 각 송신자가 제한하도록 한다. TCP 송신자가 자신과 목적지 간의 경로에서 혼잡이 없음을 감지 → 송신율을 높인다. TCP 송신자가 경로 사이에 혼잡을 감지 → 송신율을 줄인다. 1. TCP 송신자는 자신의 연결에 송신자 전송 트래픽 전송률을 어떻게 제한하는가? 💡 송신 측에서 동작하는 TCP 혼잡 제어 메커니즘은 추가적인 변수인 혼잡 윈도(congestion window)를 추적한다. cwnd로 표시 TCP 송신자가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는 속도에 제약을 가한다. 송신하는 쪽에서 확..

    컴퓨터 네트워크 기말 정리

    osi 7 계층 : 응표세전네데물 tcp/ip 4계층 : 응전인네 전송 계층 전송 계층 1. 오류 점검 2.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연결형 통신 - 신뢰성, 정확성 - TCP 프로토콜 비연결형 통신 - 효율성 - UDP 프로토콜 TCP 캡슐화 => 세그먼트 = TCP 헤더 + 데이터 TCP 헤더 코드 비트 : SYN : 연결 요청 ACK : 확인 응답 FIN : 연결 종료 일련 번호 : 송신 => 수신 이 데이터가 몇 번째 데이터인지 알려주는 번호 확인 응답 번호 : 수신 => 송신 수신 측이 몇 번째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송신 측에 알려주는 역할 왕복시간 = RTT 가중 평균 EstimatedRTT = (1 - α) × EstimatedRTT + α × SampleR..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1 컴퓨터와 네트워크 인터넷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2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1.3 네트워크 코어 1.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손실과 처리율 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1.6 공격받는 네트워크 1.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 모두의 네트워크 1장 네트워크 첫걸음 LESSON 00 네트워크 입문 강의 개강! LESSON 01 네트워크의 구조 LESSON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LESSON 03 랜과 왠 LESSON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LESSON 0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2 애플리케이션 계층 2.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2.2 웹과 HTTP 2.3 ..

    [책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책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1~6 장 https://velog.io/@minseojo/%EB%AA%A8%EB%91%90%EC%9D%98-%EB%84%A4%ED%8A%B8%EC%9B%8C%ED%81%AC-%EC%A0%95%EB%A6%AC-1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1) velog.io 7~9장 https://velog.io/@kimmainsain/%EB%AA%A8%EB%91%90%EC%9D%98-%EB%84%A4%ED%8A%B8%EC%9B%8C%ED%81%AC-%EC%A0%95%EB%A6%AC-8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 8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