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HCI, UI, UX 의미 외우기
"HCI"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CI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학문 분야를 의미
"UI" :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는 사용자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기를 조작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UX" : "사용자 경험"
UX는 사용자가 제품, 서비스 또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의미
Q2. HCI의 목표, 조건 및 구성 요소 외우기
- HCI 의 목표 : 최적의 경험
- 구성 요소 : 유용성, 사용성, 감성 을 고려
Q3. Human 과 메모리에 대한 설명
- 감각 기억 (Sensory Memory) :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 단기 기억 (Short-term Memory) : 감각 기억의 정보 중 주의를 기울인 정보들만 한정된 양으로 저장한 것
-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 : 단기 기억의 정보 중 일부분이 많은 연습과 학습을 통해 저장된 것
Q4. the interaction
도날드 노먼의 7개 원리
- 목표
- 의도
- 행동
- 실행
- 지각
- 해석
- 평가
https://cmos00.tistory.com/1976
4. 사용자 인터랙션 (User Interaction) 디자인 이해
1. 인터랙션(Interaction)이란? -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 컴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 제품, 시스템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간의 상호작용 또는 상호 영향성을 의
cmos00.tistory.com
슈나이더맨의 8개 골든 룰
[상호 디자인] 슈나이더만(Shneiderman)의 8가지 황금 규칙 쉽게 이해하기
이전 내용 2023.03.21 - [Frontend/상호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개선을 위한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원칙 [상호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개선을 위한 닐슨의 10가지 휴
jelong.tistory.com
- 일관성을 추구
- 보편적 사용성 추구
- 유익한 피드백 제공
- 대화 설계를 완료
- 오류 방지
- 동작의 쉬운 되돌리기 허용
-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유지
- 단기 기억 부하 줄이기
- 노먼의 확장
- 4개의 프레임워크가 있음 : user, input, system, output
Q5. 프로세스, 시나리오, 페르소나 에 대한 개념 설명
- 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특정 작업이나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이나 절차를 의미
- 페르소나 : 페르소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자를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 시나리오 :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상황을 묘사하는 이야기나 스토리
Q6. HCI 에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1. 소프트웨어 공학 및 대화형 시스템의 디자인 프로세스 :
이 용어는 소프트웨어 공학과 대화형 시스템의 설계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디자인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론을 포함합니다.
2. 사용성 엔지니어링 :
사용성 엔지니어링은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방법론을 총칭합니다. 사용자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을 포함합니다.
3. 반복적인 디자인과 프로토타이핑 :
이는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반복적인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접근 방법을 의미합니다. 초기에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들여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개선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4. 디자인 이유론 :
디자인 이유론은 디자인 결정의 이유를 문서화하고 설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요소들의 의도와 목적을 이해하고 향후 수정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도움이 됩니다.
7~8 문제 개념 쓰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