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bby-the-house-elf.tistory.com/109
[Linux] Make 와 Makefile, Makefile 만들기
리눅스 쉘 환경에서 코딩을 하다보면 make 명령어를 이용하여 컴파일을 하는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makefile만 만들어 놓으면 귀찮은 컴파일 과정을 명령어 하나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인데, 어떻
dobby-the-house-elf.tistory.com
리눅스 환경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과제를 하면서 visual studio community 에서는 사용해본 적이 없는 Makefile을 작성해주어야 했다
ChatGPT
Visual Studio에서는 프로젝트 파일(.sln)과 소스 파일들만으로도 프로젝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는 프로젝트 구성 및 빌드 과정을 내부적으로 처리하며, 사용자는 별도의 Makefile을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Visual Studio는 솔루션 파일에 프로젝트 파일, 소스 파일, 빌드 설정 등을 포함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고, 빌드 도구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빌드 및 디버그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솔루션 탐색기를 통해 소스 파일을 추가하고, 빌드 옵션을 설정하며, 프로젝트를 빌드하거나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주로 Makefile을 사용하여 빌드 프로세스를 정의합니다. Makefile은 각 파일 간의 의존성을 명시하고, 컴파일 및 링크 옵션을 설정하여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리눅스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더 직접적으로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요약하면,
Visual Studio에서는 내장된 빌드 도구를 사용하여 빌드를 수행하고, 리눅스 환경에서는 주로 Makefile을 작성하여 빌드를 수행합니다. 둘 다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추상화하는데, 그러한 추상화 수준의 차이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생깁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Makefile = 빌드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파일
Visual Studio = 빌드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안했음
리눅스 환경은 Makefile을 작성해주는 것 같다
'시스템 프로그래밍 > 리눅스에서 코딩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환경에서 VS code 를 활용해서 리눅스 개발 환경 만들기 (0) | 2024.06.06 |
---|---|
리눅스와 visual studio code (0) | 2023.11.08 |
리눅스 터미널 방향키 오류 (0) | 2023.09.25 |
리눅스에서 C 개발환경 구축 (0) | 2023.09.17 |
[시스템 프로그래밍] 윈도우 10에 리눅스 쉘 설치 (중간) (1)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