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gent Bioinformatics Computing Laboratory
www.jkimlab.org
Q1. 생명정보학자가 되면 어떤 일을 할 수 있으며, 어떤 곳에서 일할 수 있나요?
관심 분야들
1. 난치병 치료 및 희귀질환 연구
- 유전체 분석을 통해 희귀병과 난치병(암, 유전병 등)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법을 개발
- 환자 맞춤형 치료법(정밀의료, 약물 유전체학)을 지원
- 희귀질환 환자들은 치료법이 없거나 연구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음
2. 암 연구 및 개인 맞춤 치료 (Precision Oncology)
-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별 최적의 항암 치료법 제공
- 면역치료, 표적치료와 같은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기여
- 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므로, 이를 해결하는 연구는 인류에 큰 공헌
3. 신약 개발 및 백신 연구
- AI 및 생물정보학을 활용하여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
- 감염병(코로나19, 에볼라 등) 예방을 위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
- 신약 개발은 기존에는 10~15년이 걸리지만, 생물정보학을 통해 몇 년 안에 단축 가능
4. 정신 질환 연구 및 치료
- 정신 질환(우울증, 조현병, 치매 등)의 유전적 원인 분석
- 뇌 데이터(신경과학)와 유전체 정보를 결합하여 치료법 개발
- 정신 건강은 사용자의 주요 관심사이므로, 이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을 연구하면 의미 있는 기여 가능
5. 글로벌 보건 및 의료 불평등 해소
- 저소득 국가의 질병 데이터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보건 정책 수립
-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전염병 예측 및 대응 (WHO, MSF와 같은 국제보건기구와 협력)
-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 맞춤형 의약품 및 치료 전략 제공
목표에 따라서 석사, 박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