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nhovation.tistory.com/630
의료 데이터 전문가가 되기 위한 3가지 방법
부제 : 의료 데이터 전문가가 되려면 어떤 전공을 해야 하나요? 현재 나는 의료 데이터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데이터 큐레이터로 일하다 작년에 이직했다. 이제 막 생겨나고 있어
inhovation.tistory.com
https://blog.naver.com/dlfpsjftm
이레널스 : 네이버 블로그
✅️ 간호사가 전하는 건강이야기 원고 문의 비공개 댓글
blog.naver.com
생물정보학 : 생명공학 + 컴퓨터공학
의료정보학 : 의학, 간호학 + 컴퓨터공학
관심 있는 학문 순위
- 심리학, 정신건강
- 생명과학
- 의학, 간호학
Q1. 대학원을 생각중에 있는데 넓은 분야의 통계 대학원,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의료에 있어서의 특정 분야인 의학 통계 대학원, 의료 빅데이터 대학원 중에 고민하고 있는데 넓은 분야의 대학원을 가서 연구실을 의료 쪽으로 고르는 게 가장 좋다는 말씀이신지 궁금합니다!
A1. 가장 좋은 선택은 목표하시는 바에 따라 달라지므로, 아래에 내용을 조금 더 참고해보셔요^^
Q2.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석사 학위가 필수인 반면에 데이터 분석가는 상대적으로 석사가 필수가 아니라고 들었는데 아무래도 의료 데이터 분석가는 다른가 보군요?
A2. 네네, 맞습니다~ 의료 데이터 분석은 연구직이라서 석사를 요구하는 곳이 많습니다!
의료 연구분야는 크게 ”의료 인공지능“과 ”의학 통계“로 구분할 수 있어요~
- 의료 인공지능: AI 기술 활용 데이터 분석(자연어처리, 의료영상분석 등)
- 의학 통계: 임상시험설계 및 분석, 역학연구 등
* 의공학은 조금 다른 개념으로 생각되는데, 혹시 관심분야에 해당되는지 한번 찾아보셔요~
Q3. 의료 빅데이터 전문가가 되어 병원에서 근무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만약에 병원에서 근무하지 못하게 된다면 의료 분야의 빅데이터 전문가는 병원 말고는 갈 곳이 없을까요?
A3. 병원 외에도 다양합니다!
의료분야 빅데이터 전문가라면 ”의료 인공지능“에 가깝게 느껴지네요^^
저와 전혀 관련없는 기업이지만, 참고가 되실까하여 전달드려요~
-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예: 뷰노, 루닛)
- 디지털 헬스케어 (예: 카카오헬스케어)
- 제약사내 연구소 등
Q4. 검색을 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명칭 (의료정보학, 의학통계학, 생물통계학?)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 분야를 잘 알려주거나 이 직업을 잘 설명해주는 책이 있다면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A4. 관심을 갖고 찾아보신 흔적에 제가 뿌듯합니다~^^
명칭이 많고 이해하기가 힘드셨겠어요.
각 분야관련 학회의 학술행사를 살펴보시면 어떤 분야인지 감을 잡으실 것 같아요!
- 의료정보학: 대한의료정보학회
- 의학통계학: 보건의료통계학회, 한국역학회
- 생물통계학: 한국통계학회 산하 생물통계연구회 보기 좋게 정리된 대형병원 조직도로 설명드려볼게요! 원내 연구원이 있고, 연구원 내에 연구소(센터)가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연구소(센터)로 분야를 파악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삼성서울병원>미래의학연구원>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 스마트헬스케어연구소 등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future/main/index.do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www.samsunghospital.com
- 서울대병원>의생명연구원>의학연구협력센터, 혁신의료기술연구소 등 http://bri.snuh.org/briinfo/organization/_/singlecont/view.do
의생명연구원 l 서울대학교병원
bri.snuh.org
'생물정보학자 > 되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관련 자격증 (0) | 2025.01.07 |
---|---|
의료 데이터 관련 용어 정리 (3) | 2025.01.01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는 방법 (0) | 2024.07.25 |
데이터 과학자 로드맵 (0) | 2024.07.25 |
빅데이터 직무란?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