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
- 컴퓨터 구조 및 설계 MIPS EDITION [6판] / David A. Patterson / 한빛에듀
- 건국대학교 컴퓨터구조 강의 / 박능수 교수님
- https://developbear.tistory.com/ (김베어의 개발일지)
MIPS 주소 지정 방식
여러 형태의 주소 표현을 일반적으로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이라고 한다.
MIPS에서는 R, I, J 3개의 format으로 주소 지정 방식을 지원한다.
각 그림에서 보라색으로 강조된 부분이 피연산자를 뜻한다.
- 수치(Immediate) 주소 지정
피연산자는 명령어 내에 있는 상수이다.
- 레지스터 주소 지정
피연산자는 레지스터에 있는 값이다.
- 베이스(Base) / 변위(Displacement) 주소 지정
피연산자는 메모리 내용이다.
메모리 주소는 레지스터와 명령어 내의 상수를 더해서 구한다.(lw)
- PC 상대 주소 지정
PC(Program Counter) 값과 명령어 내 상수의 합을 더해서 주소를 구한다.
(16비트 주소를 2비트 좌측 자리이동(shift left)을 한 후 PC에 더함)
- 의사 직접(Pseudodirect) 주소 지정
명령어 내의 26비트를 PC의 상위 4비트와 연접하여 점프 주소를 구한다.
(26비트를 2비트 좌측 자리이동(shift left)을 한 후 PC 상위 4비트와 연접)
'컴퓨터 구조 > Ch2. 명령어 : 컴퓨터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프로그램 번역과 실행 (0) | 2023.04.13 |
---|---|
10. 병렬성과 명령어: 동기화 (0) | 2023.04.13 |
8. 하드웨어의 프로시저 지원 (0) | 2023.04.11 |
7. 판단을 위한 명령어 (0) | 2023.03.28 |
6. 논리 연산 명령어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