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술, 대입, 나누기 나머지, 증감 연산자
산술 연산자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대입 연산자
= (대입 연산자)
오른쪽 수식의 결과를 왼쪽 변수에 저장한다
a = 10;
==> 상수의 값을 변수에 저장
sum = a + b;
==> 연산의 결과값을 변수에 저장
나누기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
/ ( 나누기 연산자)
banana = 5 / 2;
==> 2 ( 몫이 2 )
% (나머지 연산자)
orange = 5 % 2;
==> 1 ( 나머지가 1 )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단항 연산자로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킨다.
증가 연산자
( a = a + 1; ) 과 같은 의미이다
++a;
감소 연산자
--a;
전위 표기
증감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놓임
값이 증감하고 나서 연산에 사용한다
ex) ++a; --a;
후위 표기
증감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놓임
연산에 사용하고 나서 값이 증감한다
ex) a++; a--;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 = 5, b = 5;
int pre, post;
pre = (++a) * 3;
post = (b++) * 3;
printf("초깃값 a = %d, b = %d\n", a, b);
printf("전위형: (++a) * 3 = %d, 후위형: (b++) * 3 = %d\n", pre, post);
return 0;
}
전위형의 값과 후위형의 값이 다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위형의 a는 값이 6이 되고 연산이 계산되고
후위형의 b는 값이 5가 되고 연산이 계산된다.
'C 언어 > [책 정리] 혼자 공부하는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외 유용한 연산자 (1) (0) | 2022.12.01 |
---|---|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2) (0) | 2022.12.01 |
데이터 입력 (0) | 2022.11.29 |
변수 (2) (0) | 2022.11.29 |
변수 (1)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