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 정수 상수, 실수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량으로, 변수의 반대말이다.
아스키코드는 사람이 사용하는 기호를 컴퓨터 안에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약속한 것이다
( 컴퓨터가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이해하는 형태 )
즉 우리가 소스코드에 문자 A를 작성하든 숫자 65를 작성하든 컴퓨터는 둘다 같은 형태로 번역한다
1바이트 (byte) = 8비트 (bit)
정수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정수 상수는 양수, 음수, 0이 있다
양수의 변환
양의 정수를 컴파일하면 4바이트 크기의 2진수로 변환이 된다
0~2^8 - 1 ( 255) 까지 표현이 가능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가면 상수의 크기인 4바이트가 아닌 8바이트로 처리된다
ex) 270
음수의 변환
음수는 절대값을 2의 보수로 바꾸어 처리한다.
2의 보수란 2진수의 0과 1을 바꾼 상태(이 상태를 1의 보수라 함)에서 1을 더한 값을 말한다.
양수의 변환과는 다르게 먼저 -10을 절대값 변화해서 10으로 바꾸고
10을 2진수로 바꾼다음에 0과 1을 서로 바꾸고 (1의 보수) 1을 더해주면 (2의 보수)
==> 음수 -10이 2진수로 변환이 된 것이다.
양수 10의 2진수와 음수 -10의 2진수를 서로 더해주면
10 - 10 = 0 이듯이 2진수끼리 더해도 0이 된다.
실수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실수란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틀어 부르는 말
실수는 IEEE 754 표준을 따른다
IEEE 754 표준에는 single, double, quad 3가지 형태가 있고 double 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 8바이트 (64비트)로 실수를 표현하는 그림이다
ex) 10.0
부호비트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현
ex) +
지수부
지수의 값을 표현
ex) 10
소수부
소수의 값을 표현
ex) .0
'C 언어 > [책 정리] 혼자 공부하는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2) (0) | 2022.11.29 |
---|---|
변수 (1) (0) | 2022.11.29 |
상수와 데이터 표현 방법 (1) (0) | 2022.11.25 |
C 프로그램의 구조와 데이터 출력 방법 (2) (0) | 2022.11.25 |
C 프로그램의 구조와 데이터 출력 방법 (1)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