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족보
외울 것
1. 지연계산
2. DNS
DNS란 URL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사람이 직접 IP 주소를 쓰면 힘들기 때문)
DNS의 전송 계층은 UDP =>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
3. 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
패킷 교환
미리 자원을 예약하지 않아서 자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성능 보장이 어렵다
회선 교환
미리 자원을 예약해야 해서 자원이 낭비되는 시간이 많지만, 성능 보장이 용이하다
4. 와이어샤크 해석
[TIL 2/4] Wireshark를 이용한 간단 패킷 분석
오늘은 WireShark 라는 Tool을 이용하여 패킷을 분석해보는 과정을 가졌습니다.해킹 툴로 많이 이용 된다지만,, 저 같은 주니어에게는 그저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공부 중 하나일 뿐이죠.. ㅎㅎ..요즘
velog.io
5. 3 way hand shaking
연결하고자 하는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결 확인 방식으로, 3번의 확인 과정을 거친다고 해서 3 way handshake라고 부른다.
TCP 3 way handshake를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A -> B : 내 말 들려?
- B -> A : 잘 들려. 내 말은 들려?
- A -> B : 잘 들려!
6. 캡슐화 정의
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 앞부분의 정보인 헤더를 붙여서 다음 계층에 보내야 하는데 이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역캡슐화는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식 제거하는 것
7. p2p 걸리는 시간
P2P는 서버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end system 들끼리 직접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구조이다.
N : 사용자 수
F : 파일 크기
$ u_{s} $ : 서버가 단위시간당 업로드하는 양
$ d_{min} $ : 가장 다운로드 속도가 느린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하는 속도
https://ddongwon.tistory.com/75
P2P의 개념
1. P2P 구조 앞서 인터넷을 통해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기본적으로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을 살펴보았다.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
ddongwon.tistory.com